수원 어머니를 찾아 뵌 김에 어머니 모시고 정자동 성당에 가서 1층 소성전앞 12사도상을 찾아 보았다.
성전 입구 성모님상앞에도 봄이 와 있었다.
베드로(시몬이라 불리던)사도. 열쇠가 상징이다. 축일은 6월 29일
마태오 사도. 레위라 불리웠던 세리출신의 사도. 마태오복음의 저자로 세개의 돈자루가 상징이지만 보통 마태오사도상은 책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성경책이 아닐까? 축일은 9월21일
대 야고보 사도. 제베데오의 아들 대 야고보 상징물은 금빛 가리비, 호리병, 칼, 모자, 지팡이, 자루이다.축일은 7월25일
소 야고보사도 알페오의 아들 소 야고보 상징물은 방망이와 톱이다. 축일은 5월 3일
필립보 사도, 상징물은 빵과 원형십자가, 축일은 5월 3일
안드레아 사도, 베드로의 동생, 상징물은 X자 십자가, 축일은 11월 30일
유다 타대오 사도, 써있기는 유다라 써있다. 예수님을 은전30냥에 판 가리옷 유다와 동명이인, 일명 관대한 유다라 불린다. 상징물은 창과 돛단배, 축일은 10월 28일
사도 요한.제베데오의 아들이며 야고보의 동생인 요한, 요한 복음과 3개의 서한 그리고 요한묵시록의 저자이며, 요한복음에서 자신을 예수님이 가장 사랑하신 제자라고 불렀다. 마르코 복음에 보면 예수님께서 거룩하게 변모하시며 모세와 엘리아를 만나는 순간에 베드로와 야고보 그리고 요한만 데리고 가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보면 사도요한은 마치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래서 댄 브라운의 다빈치코드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징물은 독수리 성서 솥 성배 뱀인데 사도 요한 상을 보면 라떼라노 성당과 솔메성지 그리고 정자동 성당 모두 깃털같은 것을 들고 있다. 나는 그것이 펜이라 생각되며 아마도 복음을 쓰는 모습이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축일은 12월 27일
사도 바르톨로메오, 나타나엘이 바르톨로메오의 본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아르메니다에서 참수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산 채로 칼에 의해 살가죽이 벗겨지고 그 후 머리가 베어졌다고 한다. 그의 상징이 은색 단도와 벗겨진 살가죽인 이유가 바로 이 때문. 아르메니아의 수호성인, 라떼르노 성당과 솔뫼성지 그리고 정자동 성당의 상 모두 벗겨진 살가죽을 들고있다. 축일은 8월 24일
사도 시몬, 시몬 베드로와 동명이인. 알패오의 아들로 소 야고보의 형제. 열심당원 사도행전 1장에서 이스라엘을 지금 회복 시킬지 묻는 이가 바로 이 시몬이 아닐까 추정한다. 페르시아에서 전도하다 순교했다고 하는데, 기둥에 거꾸로 매달려 톱으로 몸을 세로로 갈라 죽이는 잔혹한 형벌을 당하여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상징물에 톱이 들어가 있는 이유가 이것. 축일은 10월 28일
사도 토마스, 도마라고도 불리워지며 솔직한 성격으로, 예수 부활 때 구멍난 옆구리에 손을 넣어보고 나서야 부활을 믿은 사람. '의심 많은 사람'이라는 뜻의 영어 표현 'a doubting Thomas'가 유래된 배경이기도 하다. 인도에서 선교 활동을 하였다고 하며, 인도의 수호성인. 그 곳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성모마리아가 하늘로 들려올려지며 그 징표로 토마스에게 자신의 허리띠를 주었다는 전승에서, 허리띠는 그의 상징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토마스복음서가 있다.
이스카리옷 유다 축출 후 예수 승천 후 새로 뽑힌 사도. 악숨 지역(지금의 에티오피아)에서 선교하다 큰 도끼에 찍혀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상징물은 마늘창(도끼와 창을 결합한 무기) 혹은 도끼, 축일은 5월 14일
출근길에 보이는 도봉산 (0) | 2019.05.22 |
---|---|
꽃,꽃,꽃-의정부 중랑천 아침산책 (0) | 2019.04.27 |
40년 지기들과 효창원을 찾다-효창원-우리민족이 잊지말아야 할 곳, 의열사 (0) | 2019.03.23 |
아웃백 투움바 스파게티를 응용한 아빠표 스파게티 (0) | 2019.03.10 |
설날 나홀로 여행-비둘기낭폭포 (0) | 201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