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리성지는 병인박해때 성 다블뤼 주교와 성 위앵 민 신부, 성 오매트르 오신부와 성 황석두 루카 성 손자선 다섯사람의 순교자가 체포된 곳이며, 성 손자선 토마스의 생가이자 성 다블리 안 주교의 주교관이 자리한 곳이다.
이곳 성당에서 미사를 드렸는데 미사가 끝나고 신부님께서 신리성지에 관한 설명을 해 주셨다.
신리에 천주교가 전해진 시기는 '내포의 사도' 이존창이 세례를 받은 1784년보다 약간 늦은 시기였다. 신앙이 전파되자 신리에 정착해 살던 밀양 손씨 집안을 중심으로 교우촌이 형성되어 1866년 무렵에는 마을 사람 400여 명 전체가 신자인 교우촌으로 성장하였다. 신리는 해로를 통해 외부와 접촉하기 쉬운 조건, 그리고 내포의 여러 교우촌들과 쉽게 연결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조선 천주교회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1865년부터 신리에는 제5대 조선 교구장 다블뤼 주교가 거주하였으며, 프랑스 선교사들이 배를 타고 입국하는 거점이 되었다. 1866년 병인박해가 시작되고 포도청에서 신리에 외국인 신부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잡으러 왔는데, 이때는 외국인 신부만 잡으러 왔기에 한국인 신자들의 피해는 적었다 한다. 그러나 황석두 루카 성인이 신부님들의 만류에도 함께 잡혀가기를 원해 함께 순교하게 되었으며, 또한 다블뤼가 거처하던 집주인 손자선 토마스도 체포되었다. 이들 중 다블뤼 주교, 오메트르 신부, 위앵 신부, 황석두 복사는 1866년 3월 30일 보령 갈매못에서 순교하였고, 같은 날 손자선은 공주에서 순교하였다. 이후 프랑스 페롱신부의 제안으로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내포지역 안쪽에 위치한 덕산 가동의 대원군 아버지 남연군 묘를 도굴하여 시신과 부장품으로 통상 개방과 천주교 인정 문제를 흥정하려하다 실패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때 천주교인들이 길안내를 해주기도 하였는데, 이사건으로 천주교 박해는 더 심해져서 1868년 무진년에 신리에서는 수많은 교인들이 순교를 하게 되셨는데, 신리 거더리 일대의 순교자만도 40여명에 이른다. 1866년부터 대원군이 실각하는 1873년까지 이루어진 박해를 병인박해라 부르기에, 1868년 박해도 병인박해에 속하지만 그정도가 심하였기에 따로 무진박해라 부르기도 한다. 이후 신리를 떠나 뿔뿔이 흩어진 신자들은 순교자들에 관해 증언할 형편이 못 될 정도로 어려운 삶을 살았다. 결국 이 박해로 신리 교우촌은 완전히 붕괴되어 한 사람의 신자도 살지 않는 비신자 마을이 되었다. 병인박해의 영향으로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후에도 오랫동안 신리에는 신자들이 살지 못했다. 오랜 박해를 기억하는 주민들은 신자들이 신리에 들어와 사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 내포 교회의 중심이었고, 수많은 순교자들의 땅인 신리는 신자들 사이에서 회복해야 할 장소로 기억되고 있다.
신부님께서는 이러한 설명을 마치신 후 혹시 예약안하고 오신분 있으시냐고 물으시더니, 식사 준비를 많이 해서 음식이 남는다고 예약안하신분은 마음 편히 맛있게 식사하고 가라 하셨다.
이 건물은 순교미술관이며 지붕 꼭대기에 전망대가 있고 1층과 지하층에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지하 전시관에는 성 다블뤼주교님의 한국내 생활상과 순교 그리고 신리 순교자들의 모습이 그림으로 전시되어 있었다.
성 손자선 토마스의 생가이자 성다블뤼 안 주교의 주교관
신리 성당
아내와 함께 하는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쉰다섯번째 순례지-배나드리 성지 (0) | 2019.09.29 |
---|---|
아내와 함께 하는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쉰네번째 순례지-신리 성지2-미술관 (0) | 2019.09.29 |
아내와 함께 하는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쉰네번째 순례지-여사울 성지 성당 (0) | 2019.09.29 |
이탈리아 라테란(라떼라노)성당의 12사도상과 솔뫼성지 12사도상의 비교 (0) | 2019.03.10 |
아내와 함께 하는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쉰세번째 순례지-합덕성당 (0) | 2019.03.09 |